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

디자인은 보기 좋음이 아니라 ‘사용하기 쉬움’이다 앱을 설치했는데 메뉴가 어디 있는지 찾기 어렵고, 웹사이트에 접속했는데 원하는 정보를 도무지 찾을 수 없다면?그 순간 우리는 ‘이건 불편해!’라고 느끼고 앱을 지우거나 사이트를 닫아버리곤 합니다.그런 사용자 경험의 좋고 나쁨을 좌우하는 핵심 역할이 바로 UX/UI 디자이너입니다.오늘은 바로 UX/UI 디자이너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요. 흔히 ‘디자이너’라고 하면 예쁜 것을 만드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UX(User Experience)는 사용자 경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단순히 보기 좋은 디자인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편하게 쓸 수 있도록 돕는 디자인’을설계하는 전문가를 말합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불편함을 줄이며,디지털 서.. 2025. 8. 2.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시대, 하지만 누구나 성공하는 건 아니다 “요즘 초등학생 장래희망 1위가 유튜버래.”한 번쯤은 들어본 말이죠. 실제로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의 영향력이 커지면서디지털 콘텐츠 크리에이터(Digital Content Creator)라는 직업은 더 이상 특별한 일부만의 일이 아닙니다.그래서 오늘은 이 디지털 콘텐츠 크리에이터에 대해 소개해드릴 예정이에요. 스마트폰 하나로 영상을 찍고, 앱 몇 개로 편집해 세상과 연결되는 시대.콘텐츠 크리에이터는 이제 10대부터 60대까지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직업이 되었습니다.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시도하는 만큼, 그 안에서 꾸준히 영향력을 키우고 수익을 창출하는 사람은 소수입니다.그렇다면 크리에이터는 도대체 어떤 직업일까요?단순히 “영상 올리는 사람”이 아닙니다.기획자이자 PD, 디.. 2025. 8. 2.
ESG,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기업의 생존 전략 한때는 기업의 가장 큰 목표가 ‘이윤 추구’였습니다.하지만 지금은 조금 다릅니다. 기업이 돈을 어떻게 벌었는지, 그 과정에서 환경을 오염시키지는 않았는지,인권을 침해하지는 않았는지,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모두 따지게 되었습니다. 이런 흐름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입니다.그리고 기업이 이 ESG를 실제 경영에 반영하도록 돕는 전문가가 ‘지속가능경영 전문가(또는 ESG 컨설턴트)’입니다.그래서 오늘은 지속사능경영 전문가에 대해서 소개드리려고해요. E(Environment): 탄소중립, 에너지 효율, 폐기물 관리 등 환경에 대한 기업의 책임S(Social): 근로자의 권리, 다양성, 지역사회 기여 등 사회적 책임G(Governance):.. 2025. 8. 2.
디지털 시대의 보안 전쟁, 그 중심에 있는 사람들 “당신의 정보는 안전한가요?”한 번쯤은 이런 질문을 받아본 적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건, 누가 우리 데이터를 지키고 있는가입니다.IT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모든 서비스가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기업과 개인은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하지만 이 디지털화는 한편으로는 ‘노출’의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랜섬웨어 공격, 해킹, 내부 정보 유출 등 사이버 위협은 날로 정교해지고, 그 피해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에 가장 주목받는 직업 중 하나가 바로 사이버 보안 전문가(Cybersecurity Specialist)입니다.오늘은 이 사이버 보안 전문가에 대해 소개해드리려합니다. 이들은 보이지 않는 전장에서 기업과 개인의 정보를 지키는 보안 최전선의 .. 2025. 8. 1.
데이터는 숫자가 아니라 ‘통찰’이다 한 기업의 흥망성쇠를 가르는 건 무엇일까요?이제는 직관이나 감(感)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이 핵심입니다.“데이터가 곧 돈”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은 요즘, 데이터 분석가(Data Analyst)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Data Scientist)는 기업이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 인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오늘은 요즘 뜨고 있는 직업 중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데이터 분석가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둘 다 ‘데이터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직무’이지만,그 범위와 깊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가는 주로 기존 데이터에서 의미를 도출하고, 시각화하며, 업무 개선에 필요한 보고서를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반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 2025. 8. 1.
AI 프롬프트 엔지니어, 왜 지금 주목받고 있을까? 요즘 AI 관련 뉴스를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있습니다.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Prompt Engineer)"입니다.오늘은 요즘 뜨고 있는 직업 "프롬프트 엔지니어(Prompt Engineer)" 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합니다 :) 처음 들으면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알고 보면 우리가 이미 일상에서 접하고 있는 ChatGPT나 Claude, Gemini 같은 생성형 AI와 깊은 관련이 있는 직업입니다.프롬프트 엔지니어는 한 마디로 AI에게 '어떻게' 질문하느냐를 설계하는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사람들은 AI에게 질문을 던지고 그저 답을 기다립니다. 하지만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을 때가 많죠.여기서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역할이 등장합니다. 이들은 AI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질문을 전략적으.. 2025. 8. 1.